Posted by 김수민


Posted by 김수민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

브람스는 낭만주의시대에 유행하던 표제음악을 거부하고 절대 음악을 고수했다. 음악양식에서 보수적이고, 화려하고 서정적이라기보다 묵묵하다. 고전주의에 가깝다.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대규모의 작품을 변주곡으로 작고했다.

초기 작품으로는 3개의 소나타가 있었다.
<op.1 제1번 c장조>는 독일의 옛 선율을 차용해서 변주시킨 작품이고,
<op.2 제2번 f#단조>는 스케르초와 안단테 악장이 동일 주제를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op.3 제3번 f단조>는 빠름-느림-빠름-느림-빠름의 5악장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스케르초 e플랫 단조>, 4개의 발라드(op.10), 피아노 협주곡 <op.15 제1번 D장조>,

<헨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는 브람스의 대표적 변주곡이다. 대위법과 화성법을 통해 하프시코드에 의한 모음곡 비플랫 장조의 주제를 25개로 변주하였다.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연주가 어려워 연주회용 연습곡으로 알려져 있다.

브람스는 몇개의 피아노 독주곡과 이중주곡에 헝가리 집시음악을 녹여 헝가리 무곡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중주곡 3개는 관현악으로 편곡하여 관현악 <헝가리 무곡 제1, 3, 10번>이 되었다.  브람스의 인테르메초는 성격소품들로 20개가 있다. 이는 비교적 단순한 화성과 리듬으로 가벼운 소품을 추구하고 있다.

낭만시대의 합창음악의 특징처럼, 그는 종교적인 합창곡, 세속적 합창곡을 모두 작곡했다. 또한 무반주 합창, 앙상블 합창을 모두 다 작곡했다. 괴테의 시에 곡을 붙인 칸타타 <리날도>, 산 자를 위로하고 희망을 주려는 의도 <독일 레퀴엠>이 있다. 콘트랄토 여성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알토-랩소디>, 혼성 4부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운명의 노래> 등이 있다.

브람스의 교향곡은 베토벤의 기법을 적용한 편이다. op.68 제1번 c단조는 베토벤의 교향곡 제10번이라고 불릴 정도로 베토벤의 영향이 크다. 교향곡 op.73 제2번 D장조는 4개의 교향곡 중 가장 단순하다.
Posted by 김수민

19세기 중엽부터 유럽 각국의 작곡가들은 각자의 음악을 표출한다. 자연스럽게 자신이 사는 지역과 국가에 따라 민속적이고 민족적인 요소가 나온다.

베드리지히 스메타나는 보헤미아 쪽을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1824년에 탄생한 그는 체코어가 아닌 독일어로 어린 시절부터 교육을 받았다. 1848년 오스트리아에 대항하는 체코 혁명에 나섰으나 실패한 후로 1856년부터 스웨덴에서 활동하는데, 이때 리스트와 친구가 된다.   

그는 민족주의 음악은 민요를 목적이 아닌 하나의 기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예컨대 <보헤미아의 브란덴부르크인들>은 음악적으로 민속색이 강하지 않다.

그는 그러나 체코의 농민생활을 오페라 <팔려간 신부>에 담았고. 오락적인 희극인 이 작품의 민족적 색채 뚜렷하다. 폴카와 푸리안트 같은 민속적 춤곡이 포함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오페라 <LIVUSE>, <악마의 법>에서도 민족주의적 요소 사용했으며, 바그너의 영향을 당시에 많이 받았다. 

1874~1879년 만들어진 <나의 조국>은 6곡으로 이뤄진 교향시이다. 그의 조국의 자연과 역사를 주제로 삼은, 그의 대표작이다. 제1곡 〈뷔세흐라드 Vysehrad>, 제2곡 〈블타바 Vltava〉, 제3곡 〈사르카 Sarka〉, 제4곡 〈체히의 목장과 숲속에서 Zčeskych luhv a hájuv〉, 제5곡 〈타보르 Tábor〉, 제6곡 〈블라니크 Blanik〉가운데 제2곡이 가장 유명하다. 

강이름에서 제목을 가져온 '블타바'는 독일어인 '몰다우(moldau)'로 더 크게 알려졌다. 보헤미아의 남북을 가르는 이 강과 그 풍경을 통해 국토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며 스메타나는 19세기 후반의 민족주의 음악을 개척했다.

Posted by 김수민

슈베르트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1797년에 탄생했다. 어려서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교향곡 1번 D장조>, 오페라 <악마의 별장> 등을 작곡. 괴테의 시에 곡을 붙여 <들장미>, <마왕>등을 창작하였다.

유명한 가곡으로는 <죽음과 소녀>, <송어>. 슈베르트는 가곡의 왕이라고 불리운다. 그는 600여개의 가곡을 작곡했는데, 그 이전의 독창가곡은 공공연주용 작품이 되지 못하였다. 그는 같은 음악이 시의 각 절에 되풀이되는 유절식 가곡이라는 형식으로써 들장미, 실비아,에드워드 같은 곡들을 썼다. 유벌식을 변형한 예로는 송어, 그대는 나의 안식, 달에게가 있으며, 각 절마다 다른 음악을 붙인 통절식 가곡으로는 마왕, 시들은 꽃과 같은가곡이 있다. 그의 가곡은 짧은 서정시 뿐 아니라 긴 서사시까지 소재로 삼고 있다. 빌헬름 뮐러의 시에 붙인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가 바로 그런 사례다. 겨울나그네 역시 뮐러의 시에 의한 작품이다. 백조의 노래는 하이네의 시에 붙인 가곡인데, 각각의 곡이 연결되는 연가곡은 아니다. 
 
그의 피아노소품들은 성격적 소품, 소나타, 2중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소나타의 경우 초기에는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영향이 나타나고 후반부에는 베토벤의 영향이 엿보인다. 고전형식에 기초하고 있지만 낭만적인 분위기가 강하다. 교향곡에서도 베토벤을 모델로 한 측면이 있는데, 초기에는 하이든, 모차르트, 케루비니의 영향도 나타난다. 1822년에는 <방랑자 환상곡>과 미완성 교양곡인 <제8번 b단조>를 썼다. 미완성 교향곡은 제1, 2악장과 제3악장의 첫 부분만 남아 있었다. 

한 곡이 끝나면 다음 곡을 시작한다는 말을 할 만큼 쉬지 않고 창작을 했지만 불과 21세의 젊은 나이로 그는 요절하고 말았다. 명성과 행운은 찾아오지 않았고 경제적 궁핍만이 잇따랐다.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베토벤 무덤의 근처에 매장되었다가 나중에 비엔나시의 중앙묘지로 이장되었다. 그의 작품번호는 그의 음악을 정리한 O.E.도이취의 이니셜을 따 D라고 적고 있다.

Posted by 김수민
르네상스의 기악음악은 성악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악보를 보면 성악과 기악을 않았다는 점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성악에서 유래한 형식으로는 리체르카레, 칸초나, 카프리치오, 푸가, 버세트 등이 있지요. 리체르카레는 오르간과 합주음악을 위한 형식입니다. 칸초나는 건반악기를 위한 형식으로 선율과 리듬의 대조가 각 부분에 들어 있지요. 17세기로 가면 교회 소나타가 됩니다.

말기에 이르러서는 독립적인 기악 작품들도 있었구요. 악기로 말할 것 같으면 이탈리아 교회에서 오르간이 두 대로 늘었다는 거, 하프시코드가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이야기할 수 있겠죠. 16세기 중반에는 바이올린족도 나타났습니다.

스페인과 영국에서는 춤곡을 기초로 건반악기를위한 변주곡도 만들어졌습니다. 정선율 변주곡, 주제와 변주, 헥사코드 변주곡 등이 있지요. 헥사코드 변주곡, 그라운드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헥사코드 변주곡은 도레미파솔라의 6개음을 주제로 한 것이고, 그라운드는 4~8마디의 짧은 베이스 주제를 기초로 한 것이지요. 스페인에는 나르바에스, 카베손 등이 있구요. 영국에는 버드, 파나비, 벌, 기본즈 등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오를란도 기본즈의 작품을 들어보죠.
Posted by 김수민
이전버튼 1 이전버튼